안녕하세요 티쓰리솔루션입니다.
오늘은 3D 가우시안 스플래팅(3DGS) 데이터의 활용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3D 가우시안 스플래팅(3DGS)이 무엇인지는 아래 글을 통해서 한번 확인해보세요!
3D 가우시안 스플래팅이 무엇인가요?
3DGS 데이터의 형태는 흔히 알고 있는 Mesh 데이터가 아닌 구름형태의 데이터,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인 PLY 형식입니다.
데이터 자체가 면으로 이루어진 오브젝트가 아니어서 현재 타 플랫폼에서 사용이 쉽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기술의 편의성과 현실세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장점 덕분에 많은 플랫폼에서 3DGS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Unreal Engine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저희 티쓰리솔루션은 3DGS를 더욱 쉽고 빠르게 제작하기 위해 XGRIDS와 협업하여 국내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XGRIDS의 Lixel Cyber Color(LCC) 소프트웨어는 LiDAR와 Camera데이터를 아주 쉽고 간편하게 처리하여 3DGS 데이터를 제공하는 솔루션입니다.
LCC를 사용하여 3DGS 데이터를 생성하고 나면, 제공되는 Unreal Engine Plugin을 활용하여 아주 쉽게 언리얼 엔진에 활용이 가능합니다.
1. 먼저 플러그인을 언리얼엔진 프로젝트에 넣어주고,

2. 그 다음 플러그인 목록에서 LCC Object를 넣어준 뒤,

3. LCC로부터 만든 3DGS 파일을 Import 해주면 끝납니다

Collision
위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3DGS 데이터는 Mesh데이터가 아니기 때문에 현재 Collision값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캐릭터를 배치 시키면 이렇게 데이터를 뚫고 내려가 있는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렌더링 된 3DGS 데이터에 따로 물리 값 입력을 위한 랜드스케이프 작업이나 별도의 오브젝트를 추가해줍니다.

작업이 완성되고 나면 케릭터가 정상적으로 3DGS 모델 위에 서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언리얼엔진에 올라간 3DGS 데이터는 VR투어, 게임의 배경 제작, 영화나 드라마 제작시 VFX 배경 등에 활용이 가능합니다
더 상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언제든지 티쓰리솔루션으로 연락주세요!

안녕하세요 티쓰리솔루션입니다.
오늘은 3D 가우시안 스플래팅(3DGS) 데이터의 활용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3D 가우시안 스플래팅(3DGS)이 무엇인지는 아래 글을 통해서 한번 확인해보세요!
3D 가우시안 스플래팅이 무엇인가요?
3DGS 데이터의 형태는 흔히 알고 있는 Mesh 데이터가 아닌 구름형태의 데이터,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인 PLY 형식입니다.
데이터 자체가 면으로 이루어진 오브젝트가 아니어서 현재 타 플랫폼에서 사용이 쉽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기술의 편의성과 현실세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장점 덕분에 많은 플랫폼에서 3DGS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Unreal Engine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저희 티쓰리솔루션은 3DGS를 더욱 쉽고 빠르게 제작하기 위해 XGRIDS와 협업하여 국내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XGRIDS의 Lixel Cyber Color(LCC) 소프트웨어는 LiDAR와 Camera데이터를 아주 쉽고 간편하게 처리하여 3DGS 데이터를 제공하는 솔루션입니다.
LCC를 사용하여 3DGS 데이터를 생성하고 나면, 제공되는 Unreal Engine Plugin을 활용하여 아주 쉽게 언리얼 엔진에 활용이 가능합니다.
1. 먼저 플러그인을 언리얼엔진 프로젝트에 넣어주고,
2. 그 다음 플러그인 목록에서 LCC Object를 넣어준 뒤,
3. LCC로부터 만든 3DGS 파일을 Import 해주면 끝납니다
위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3DGS 데이터는 Mesh데이터가 아니기 때문에 현재 Collision값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캐릭터를 배치 시키면 이렇게 데이터를 뚫고 내려가 있는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렌더링 된 3DGS 데이터에 따로 물리 값 입력을 위한 랜드스케이프 작업이나 별도의 오브젝트를 추가해줍니다.
작업이 완성되고 나면 케릭터가 정상적으로 3DGS 모델 위에 서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언리얼엔진에 올라간 3DGS 데이터는 VR투어, 게임의 배경 제작, 영화나 드라마 제작시 VFX 배경 등에 활용이 가능합니다
더 상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언제든지 티쓰리솔루션으로 연락주세요!